Hseong

[경영정보시각화능력] - 필기 합격 후기(자료 포함) 본문

Certificate/경영정보시각화능력(x)

[경영정보시각화능력] - 필기 합격 후기(자료 포함)

__hseong__ 2025. 4. 25. 14:05
728x90
반응형

  • kt 에이블스쿨을 진행하면서, 여러 검증 요소들을 배우는데, 통계학적 지식이 부족하기도하고, 아무래도 데이터분석이나 여러 보고가 필요한 상황이 필요할 것 같아 따로 태블로를 습득할까 고민하던중에 대한상공회의소에서 만든 자격증인 경영정보시각화능력 자격증을 따기로 결정했다!
  • 취득하려는 사람이 별로 없다보니 (+ 초반이라 기출문제도 적고,,,쉽게 나온다고 함) 많이 찾아보느라 애를 썼다..
  • "정보처리기사 실기화" 가 되기전에 필기라도 얼른 따야할 것 같아서 바로 시험을 접수했고, 실기는 알아보니 극악이라고하는데.. 벌써부터 무섭다!
  • 나라도 정보를 조금이라도 올려야 도움이 될 것 같아서 올리게 되었다 ( 물론 gpt는 신이지??)

경영정보시각화능력 수험 가이드북

경영정보시각화능력 필기 수험가이드북.pdf
5.13MB

해당 파일은 대한상공회의소 측에서 제공하는 수험 가이드북으로 시험에 출제될 내용들이 정리되어있습니다 

바쁘신분들은 13페이지부터 쭉 보시면 됩니다!!

경영정보시각화능력 3과목 

1. 경영정보 이해 

필자는 경영과는 완전히 먼 공대생이기 때문에 좀 미숙했는데 주식을 했던 경험으로 몇 가지는 그래도 괜찮았다...! 

2. 데이터

정보처리기사,adsp,sqld 등등 데이터 관련 자격증을 공부했던 경험이 있거나, 관련 전공 이였더라면 겹치는 부분이 많아서 굉장히 친숙하고 공부하는데 시간을 별로 안썼다.

3. 시각화 

여기는 솔직히 센스가 조금 필요하다 + 파이썬으로 pandas 와 같은 시각화 툴을 좀 만져본 적이 있다거나 통계학적인 지식이 있다면 센스 있게 해결이 가능하다 ( 엑셀도 굿 )

공부 방법

실제로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이 5일 정도 였어서 조금 타이트 했었다..

- step 1 

수험자 가이드북 2회 정도 쭉 읽기

- step 2

모의문제 + cbt + 기출 돌리면서 계속 풀고, 틀리는 것만 체크해서 그 부분 수험자 가이드북에서 꾸준히 봐주기

- step 3

모의문제 같은 경우 몇 가지 겹치는 부분과 여러 기출문제 관한 증언들을 참고하면 거의 복붙 수준으로 나오는 몇 문제도 있으니 최대한 모의문제라도 숙지하기!

기출 문제( + 모의문제)

- 해당 시험같은 경우는 24년 기출문제는 모의문제를 제외하고 cbt에 넣을 수 없는 저작권이 있어서 따로 찾아서 문제를 풀어야 한다..! 시간이 촉박한 준비러들을 위해 아래 파일들을 정리했으니 참고하면 될 것 같다!

 

경영정보시각화능력 필기 모의문제 답안(A형)-20240307 수정.pdf
0.04MB
경영정보시각화능력_필기 모의문제(A형).pdf
0.39MB
경영정보시각화능력 필기 모의문제 답안(B형).pdf
0.04MB
경영정보시각화능력_필기 모의문제(B형).pdf
0.33MB

---------------------------------------------------기출 문제 ---------------------------------------------------

24-1.pdf
6.17MB
24-2.pdf
0.71MB
24-2 답안.pdf
0.10MB
24-1 답안.pdf
0.06MB

 

 

📘 경영정보시각화능력 필기시험 요약정리 (Chapter 1~3)


📘 Chapter 01. 경영정보 일반

📌 Section 1. 경영정보 이해

  • 경영활동: PDCA(Plan → Do → Check → Act)
  • 데이터 → 정보 → 지식 → 통찰
  • 정량/정성 데이터, 빅데이터 3V (Volume, Velocity, Variety)

📌 Section 2. 부문별 정보

  • 회계/재무, 인사/조직, 마케팅(STP, 4P), 공급관리

📌 Section 3. 경영정보시스템

  • ERP, CRM, SCM, KM 등 시스템별 목적 및 기능

📌 Section 4. 전략 수립

  • 외부(Pest, 5 Forces), 내부(VRIO, 7S), BCG매트릭스, SWOT, ESG, 블루오션

📘 Chapter 02. 데이터 해석 및 활용

📌 Section 1. 데이터 이해

  • 데이터 유형(범주형/수치형)
  • 기초통계량, 확률, 분포 해석

📌 Section 2. 데이터 저장 시스템

  • 데이터 구조: 필드 < 레코드 < 파일 < DB
  • 변수, 키 이해

📌 Section 3. 데이터 가공 및 활용

  • 정제, 인코딩, 파생변수, 결합, 분할, 검증

📌 Section 4. BI와 데이터 관리

  • 수집(SQL, API), 저장(DB), 보안, BI 개념

📘 Chapter 03. 경영정보시각화 디자인

📌 Section 1. 시각화 개요

  • 정보 전달/탐색/설득 목적
  • 시각화 기능 및 효과

📌 Section 2. 프로세스

  1. 목표 설정 → 2. 수집/정제 → 3. 설계 → 4. 구현 → 5. 분석

📌 Section 3. 디자인 요소

  • 원리: 리듬, 강조, 대비, 균형, 공간
  • 차트 유형: 막대, 파이, 트리맵, 산점도, 선형 등

📌 Section 4. 시각화 도구

  • 테이블/맵, 필터, 요약기능, 색상/글꼴 조정

📝 예상문제 30선 (정답 포함)

✅ Chapter 01 예상문제

  1. 경영활동의 순환 과정으로 올바른 것은?
    👉 PDCA
  2. 데이터 → 정보 → 지식 → ( )에 해당하는 것은?
    👉 통찰(Insight)
  3. 정성적 데이터의 예시로 적절한 것은?
    👉 고객의 의견
  4. 3V에 해당하지 않는 항목은?
    👉 Value (정답: 속도, 다양성, 규모만 포함됨)
  5. 회계정보의 대표 항목은?
    👉 재무제표
  6. 마케팅 4P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People (정답: Product, Price, Place, Promotion)
  7. ERP 시스템의 목적은?
    👉 부서 간 정보 통합 및 자원관리
  8. PEST 분석에서 기술요소는 무엇에 해당하는가?
    👉 Technological
  9. SWOT 분석의 내부요인은?
    👉 강점(Strength), 약점(Weakness)
  10. BCG 매트릭스에서 '스타'는 어떤 특징을 가지는가?
    👉 시장성장률 높고, 점유율도 높음

✅ Chapter 02 예상문제

  1. 범주형 데이터에 해당하는 예시는?
    👉 혈액형
  2. 평균, 중앙값, 범위는 어떤 통계에 해당하는가?
    👉 기초통계량
  3. 필드, 레코드, 파일 중 가장 큰 단위는?
    👉 파일
  4. 정제작업에서 제거해야 할 요소는?
    👉 결측치, 이상값
  5. 데이터 인코딩 방식 중 텍스트를 숫자로 매핑하는 방법은?
    👉 레이블 인코딩
  6. 데이터 결합 중 수직 합치기는?
    👉 유니온
  7. 훈련-검증-테스트 분할은 왜 필요한가?
    👉 과적합 방지 및 성능 검증
  8. SQL은 어떤 데이터 작업에 주로 사용되는가?
    👉 데이터 수집/조회
  9. BI의 목적은?
    👉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지원
  10.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 간 연결을 위한 키는?
    👉 기본키, 외래키

✅ Chapter 03 예상문제

  1. 정보 시각화의 주요 목적이 아닌 것은?
    👉 데이터 암호화
  2. 시각화 설계 5단계 중 첫 단계는?
    👉 목표 설정
  3. 다음 중 설득 목적에 적합한 차트는?
    👉 도넛 차트, 트리맵 등 강조 중심 시각화
  4. 디자인 원리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암호성 (정답: 리듬, 대비, 비례 등은 해당됨)
  5. 추세 분석에 적절한 차트는?
    👉 꺾은선 그래프
  6. 관계 분석에 적합한 차트는?
    👉 산점도
  7. 파이 차트가 효과적인 상황은?
    👉 구성 비율을 보여줄 때
  8. 트리맵의 주 용도는?
    👉 계층 구조와 비율 시각화
  9. 시각화 도구에서 필터 기능의 목적은?
    👉 조건별 데이터 보기
  10. 두 개 이상의 차트를 조합한 시각화 유형은?
    👉 복합형 차트

-------------------------------------------후기-------------------------------------------------------

4월 26(토)에 시행된 25년 1회차 시험 후기 입니다!! 필요한 준비물은 컴싸(마킹용), 수정테이프, 신분증 정도이고, 수험표는 따로 필요하지 않았습니다! 어차피 좌석에 시험지에 붙여야되는 수험표적힌 스티커가 있습니다!

중간중간 서울 국제회의관 B2의 경우 방송으로 퇴실할 수 있는 시간 알려줘서 다 풀면 중간에 나가도 되는 시스템이였고, 굳이 프린트물은 안가져가셔도 됩니다 태블릿 pc 있으면 보다가 어차피 다 동시에 꺼야되구요! 그리고 30분 일찍 갔는데 강의장 문이 안열려서 20분전까지만 가셔도 충분할 것 같더라구요 ( 저는 40분 기다 ㄹ...)

일단 이번 25년 1회차의 경우 공통된 의견이 난이도를 많이 올렸다?.. 사실 다른 자격증 시험에 비해서는 난이도가 쉬운 편이긴 하나 시중에 있는 교재나 정보들이 부족해서 아직까지는 체감상 어려운 것 같더라구요 

그래도 가채점 결과 55/75/75 가 나와서 간신히 필기는 합격할 것 같은데, 데이터 관련이나 경영정보에 베이스가 없다! 하시면 2주정도 수험자 가이드북 + 교재 활용하셔야 될 것 같습니다 

그외 궁금한 부분 댓으로 남겨주시면 답변 해드릴게요!!

------------------------------------------------발표 당일----------------------------------------------------

 

가채점보다는 2,3과목 5점씩 더 올랐네요 ! ! 이제 실기는 태블로 선택해서 준비하려고 합니다!

728x90
반응형